Tuesday, June 6, 2023

Hebdomada nona (IX) per annum, Feria tertia | 연중 제9주간 화요일 | Tuesday of the Ninth Week in Ordinary Time | 常年期第九周星期二

E Doctrínis sancti Doróthei abbátis

(Doct. 13, De accusatione sui ipsius, 2-3: PG 88, 1699)

De falsa pace spiritali

Qui sese accusáverit, quidquid incómmodi, damni, probri, ignomíniæ vel alteríus cuiuscúmque afflictiónis incúrrerit, ómnia hílare súscipit, ómnibus digníssimum se putat, neque ullo modo turbári potest. Quid hoc hómine quiétius?

  

Sed mihi fortásse quis obíciet: « Quid si me afflígat frater quærénsque nullam me invéniam occasiónem dedísse, cur me accusáre débeam? ».

  

Profécto si se quis cum Dei timóre diligénter exáminet, numquam omníno se insóntem invéniet videbítque vel actu vel verbo vel figúra ullam a se occasiónem datam. Quod si in nullo horum se tunc sontem invéniet, profécto álio témpore afflíxit fratrem illum vel eádem vel dissímili in re; aut forte quémpiam álium fratrem vexávit. Quare hoc mérito repátitur, vel ob ália quæ álias plúrima peccáta commísit.

  

Quærit álius cur seípsum accúset, cum sedens in omni pace et quiéte afflígitur a superveniénte fratre verbo ullo vel molésto vel ignominióso, quod cum pati non queat, irásci se putat et turbári cum ratióne; quia nisi incidísset ille et locútus fuísset et turbatiónem fecísset, numquam peccásset?

  

Hoc certe ridículum est nulláque nítitur ratióne. Neque enim ex hoc quod verbum ullum díxerit passiónem iræ illi iniécit, quin pótius osténdit, qua laboráret passióne; ut, si vellet, pæniténtiam ágeret. Hic silígini símilis factus est nítidæ et splendénti, quam cum quis frégerit, cænum eius patefáciet.

  

Sic qui sedet quiétus et pacíficus, ut exístimat, passiónem intus habet quam non videt. Supérvenit frater, verbum áliquod moléstum óbicit statímque pus omne et lutum quod intus latébat, evómitur. Quare si misericórdiam vult cónsequi, pæniténtiam agat, purget se, profícere stúdeat videbítque debuísse magis sese fratri illi grátias quam iniúriam reférre, qui tantæ sibi fúerit utilitátis occásio. Non enim póstmodum tentatiónibus ádeo afflígitur, sed quanto profécerit magis, tanto illas séntiet levióres. Nam quanto próficit ánima, tanto fit fórtior et valéntior ad ferénda quæcúmque dura contígerint.

성 도로테우스 아빠스의 글에서

마음의 거짓된 평화

자기 자신을 책하는 사람은 어떤 불편이건, 손해건, 모욕이건, 어떤 괴로운 일이건 자기에게 닥칠 때 그것을 기꺼이 받아들이고, 또 그런 것을 자기가 마땅히 받아들여야 한다고 생각하며 그것 때문에 조금도 마음 불안해하지 않습니다. 이런 사람보다 더 평화로운 사람이 있겠습니까? 아마도 어떤 이는 반론을 제기할지도 모릅니다. “어느 형제가 나를 괴롭히지만 내 자신을 돌이켜볼 때 그가 나를 그렇게 할 이유를 찾지 못하는데 어떻게 나를 책할 수 있단 말입니까?”라고.


이런 말을 하는 사람은 하느님을 두려워하는 마음으로 자신을 세밀히 반성해 본다면 자기 자신에게 아무런 잘못이 없다는 점을 결코 찾아내지 못할 것이고, 자신의 어떤 행동이나 말이나 태도로 그런 계기를 유발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그가 현재 이 모든 점에서 자기 잘못을 찾지 못한다고 해도 다른 때에 그 똑같은 행동이나 또는 다른 행동으로 말미암아 그 형제를 괴롭혔거나 또는 다른 형제의 마음을 거의 틀림없이 상하게 하였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그는 그 잘못이나 다른 곳에서 저지른 다른 여러 가지 잘못들 때문에 응당히 자신을 책해야 합니다.


또 다른 이는 이렇게 물을지 모릅니다. “내가 평화 속에 조용히 앉아 있는데 한 형제가 다가와서는 기분 상하는 모욕적인 언사로써 내 기분을 상하게 했을 때 왜 나를 책해야 하겠습니까? 이 사람은 그것을 참지 못하고 자기가 성내고 불안해지는 것이 당연하다고 느끼면서 그가 끼어들지 않았거나 말하지 않았거나 문제를 일으키지 않았다면 자기가 죄를 짓지 않았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것이야말로 우스운 말이며 무게 없는 생각입니다. 그 형제가 그 말을 했다고 해서 마음속에 분노의 격정을 집어넣은 것이 아니고, 다만 그 말이 이미 그의 내부에 있던 격정을 드러나게 했다는 점입니다. 이때에 그가 원한다면 그것은 회개의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이런 사람은 덜 익은 밀알과 같습니다. 겉으로는 싱싱하고 반짝이지만 바수어 트리면 내부의 더러운 것이 나옵니다.


그래서 자기 나름대로 생각하듯 평화 속에 조용히 앉아 있는 이 사람은 자기가 보지 못하는 격정을 내부에 지니고 있습니다. 그러다가 어떤 형제가 나타나 그에게 불쾌한 말을 한마디 던지면 그 안에 감추어져 있던 고름과 더러운 것을 토해 냅니다.


그가 자비를 얻고자 한다면 먼저 회개하여 자신을 정화시키고 좀 더 나아지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그러면 그렇게도 유익한 계기를 가져다 준 그 형제를 욕하는 것보다 도리어 감사해야 한다는 것을 깨닫게 될 것입니다. 이런 사람에게 앞으로 유혹은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입니다. 그가 진보하면 할수록 그만큼 더 쉽게 유혹을 맞을 수 있고, 영혼이 진보하면 좀 더 용맹하고 강해져 어떤 어려움에 봉착한다고 해도 그것을 견디어 낼 수 있을 것입니다.

A colloquy of St Dorotheus

On false spiritual peace

The man who finds fault with himself accepts all things cheerfully – misfortune, loss, disgrace, dishonour and any other kind of adversity. He believes that he is deserving of all these things and nothing can disturb him. No one could be more at peace than this man.

  

But perhaps you will offer me this objection: “Suppose my brother injures me, and on examining myself I find that I have not given him any cause. Why should I blame myself?”

  

Certainly if someone examines himself carefully and with fear of God, he will never find himself completely innocent. He will see that he has given some provocation by an action, a word or by his manner. If he does find that he is not guilty in any of these ways, certainly he must have injured that brother somehow at some other time. Or perhaps he has been a source of annoyance to some other brother. For this reason he deserves to endure the injury because of many other sins that he has committed on other occasions.

  

Someone else asks why he should accuse himself when he was sitting peacefully and quietly when a brother came upon him with an unkind or insulting word. He cannot tolerate it, and so he thinks that his anger is justified. If that brother had not approached him and said those words and upset him, he never would have sinned.

  

This kind of thinking is surely ridiculous and has no rational basis. For the fact that he has said anything at all in this situation breaks the cover on the passionate anger within him, which is all the more exposed by his excessive anxiety. If he wished, he would do penance. He has become like a clean, shiny grain of wheat that, when broken, is full of dirt inside.

  

The man who thinks that he is quiet and peaceful has within him a passion that he does not see. A brother comes up, utters some unkind word and immediately all the venom and mire that lie hidden within him are spewed out. If he wishes mercy, he must do penance, purify himself and strive to become perfect. He will see that he should have returned thanks to his brother instead of returning the injury, because his brother has proven to be an occasion of profit to him. It will not be long before he will no longer be bothered by these temptations. The more perfect he grows, the less these temptations will affect him. For the more the soul advances, the stronger and more powerful it becomes in bearing the difficulties that it meets.

選讀聖杜樂德院長訓主旨

(論心靈的假平安)


自訟自承的人,對他所遭遇的任何不便,危害、欺凌、恥辱,或任何人的磨難,都能怡然忍受。因為他想自己罪有應得,絕對不能為之所困擾。誰能比這個人更享平安呢?


也許有人要反駁我:「如果弟兄磨難我,我在省察之後,發覺我毫無過錯,我為什麼自訟自承呢?」


的確,誰若懷著畏主之心審慎反省之後,總不會發覺自己是完全無罪的;他將會看到自己、或在行為上、或在言語上、或在態度上、給人動怒的機會。如果誰發覺自己在這些事上當時是無罪的;也許在別的時候,在同樣的或在別的事上得罪了弟兄。或者得罪過其他的弟兄。因此,為了這過錯,或是為了所犯的其他罪過,應該受些苦。


又有人問道:當一個人安靜的坐著,一位弟兄突然來到,以傷害或侮辱的話激怒他,為什麼他應責備自己呢?他由於不能忍受,便想自己動怒並心情擾亂是有理由的;因為如果那個人不闖入,說話或煩擾他,他絕不會犯罪。


這的確是可笑的,也毫無理由為依據。因為那弟兄並不是藉他所說的話,便把忿怒的偏情、注入在他心裡,而是揭露他心內已有的忿怒的偏情,這樣,如果他願意,便能為這事而痛悔。這弟兄好像早熟的小麥;外表光潔閃耀,當人把它壓碎時,它的腐朽便顯出來了。


那麼安靜坐著的這個人,如同他所想的,在他內有他所看不見的偏情。突然來了一位弟兄,說了一句傷害他的話,他心中所藏的一切毒汁和污穢立刻都吐出來了。如果他願獲得到憐憫,就該痛悔,淨化自己,努力改善自己;並且要知道,他對於給與他這樣好處的那位弟兄,不但不該凌辱他,反倒該感謝他。因為此後誘惑不會再這樣困擾他;事實上他越進步,就感到越容易應付試探。因為人靈越向前邁進,便越勇毅堅強,能忍受所遭遇的任何困難。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