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rsday, May 25, 2023

Maius 26 : S. Philippi Neri, presbyteri 【Memoria】 | 5월 26일 : 성 필립보 네리, 사제 【기념일】 | 26 May : Saint Philip Neri, Priest 【Memorial】 | 五月二十六日 : 聖斐理伯.內利司鐸 【紀念】

Ex Sermónibus sancti Augustíni epíscopi 

(Sermo 171, 1-3. 5: PL 38, 933-935)

Gaudete in Domino semper

Gaudére nos Apóstolus prǽcipit, sed in Dómino, non in sǽculo. Quicúmque enim volúerit amícus esse huius mundi, sicut Scriptúra dicit, inimícus Dei reputábitur. Sicut autem non potest homo duóbus dóminis servíre, sic nemo potest gaudére et in sǽculo et in Dómino.

  

Vincat ergo gáudium in Dómino, donec finiátur gáudium in sǽculo. Gáudium in Dómino semper augeátur; gáudium in sǽculo semper minuátur, donec finiátur. Non ídeo ista dicúntur, quóniam, in hoc sǽculo cum sumus, gaudére non debémus: sed ut, étiam in hoc sǽculo constitúti, iam in Dómino gaudeámus.

  

Sed ait áliquis: In sǽculo sum; útique, si gáudeo, ibi gáudeo ubi sum. Quid enim? quia es in sǽculo, in Dómino non es? Audi eúndem Apóstolum ad Atheniénses loquéntem, et in Actibus Apostolórum dicéntem de Deo et de Dómino creatóre nostro: In illo vívimus et movémur et sumus. Qui enim ubíque est, ubi non est? Nonne ad hoc nos exhortabátur? Dóminus in próximo est, nihil sollíciti fuéritis.

  

Magnum est hoc, quod ascéndit super omnes cælos et próximus est eis qui versántur in terris. Quis est iste longínquus et próximus, nisi qui nobis misericórdia factus est próximus?

  

Totum enim genus humánum est homo ille, qui iacébat in via semivívus a latrónibus relíctus, quem contémpsit tránsiens sacérdos et levítes, et accéssit ad eum curándum eíque opitulándum tránsiens Samaritánus. Cum ergo longe a nobis esset immortális et iustus, tamquam a mortálibus et peccatóribus, descéndit ad nos, ut fíeret nobis próximus ille longínquus.

  

Non enim secúndum peccáta nostra fecit nobis. Fílii enim sumus. Unde hoc probámus? Mórtuus est pro nobis Unicus, ne remanéret unus. Nóluit esse unus, qui mórtuus est unus. Multos enim fílios Dei fecit únicus Fílius Dei. Emit sibi fratres sánguine suo, probávit reprobátus, redémit vénditus, honorávit iniuriátus, vivificávit occísus.

  

Ergo, fratres, gaudéte in Dómino, non in sǽculo: id est, gaudéte in veritáte, non in iniquitáte; gaudéte in spe æternitátis, non in flore vanitátis. Ita gaudéte: et ubicúmque et quamdiucúmque hic fuéritis, Dóminus in próximo est, nihil sollíciti fuéritis.

성 아우구스티노 주교의 강론에서

주님 안에서 항상 기뻐하십시오 

사도 바오로는 우리에게 기뻐하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주님 안에서 기뻐하라고 말하지 세상을 두고 기뻐하라고 하지는 않습니다. 성서가 말해 주는 대로 “누구든지 이 세상의 친구가 되려고 하는 사람 은 하느님의 원수가 됩니다.” 사람이 두 주인을 섬길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아무도 세상과 주님 안에서 함께 기뻐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므로 주님 안에서의 기쁨이 승리를 거두어 세상을 누리는 기쁨이 날로 증가하고 세상을 두고 누리는 기쁨은 날로 감소하여 사라지도록 하십시오. 이 말은 우리가 세사에 있는 동안 기뻐해서는 안된다는 뜻이 아니고 오히려 세상에 있는 동안이라도 이미 주님 안에서 기뻐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그러나 누가 이렇게 말할는지도 모릅니다. “나는 세상에 살고 있습니다. 그러니 내가 기뻐한다면 내가 있는 곳에서 기뻐하는 것입니다.” 아니, 그렇다면 여러분이 세상에 있다고 해서 주님 안에 있지 않다는 말입니까? 사도행전에 기록된 대로 사도 바오로가 아테네인들에게 하는 설교에서 우리 주 창조주이신 하느님께 대해 하는 말씀을 들으십시오. “우리는 그분 안에서 숨쉬고 움직이며 살아갑니다.” 그러면 어디에나 계시는 분께서 계시지 않는 곳이 어디 있겠습니까? 바오로가 “주님께서 가까이 계시니 아무 걱정도 하지 마십시오.”라고 말할 때 바로 이것을 권고하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하늘 위에 드높이 오르시면서도 동시에 지상에서 살고 있는 이들과 가까이 계시는 분이 참으로 무한한 분이십니다. 멀고도 가까이 계시는 이분이 우리에 대한 사랑 때문에 우리와 가까워지신 그분이 아니라면 누구이겠습니까?


전인류는 강도를 만나 반쯤 죽어 길바닥에 누워 있는데 사제와 레위는 못 본 체 지나가 버리고 지나가던 사마리아인이 부축하여 간호해 주고 돌보아 주었던 바로 그 사람과 같습니다. 불사 불멸이시고 의로우신 분께서는 죄인이고 죽어야 할 우리 인간에게서 멀리 떨어져 계셨지만, 멀리 떨어져 계신 그분은 우리의 이웃이 되시고자 우리에게 내려오셨습니다.


그분은 “우리를 죄대로 다루지 않으시고, 우리의 악대로 갚지도 않으십니다.” 그것은 우리가 그분의 자녀들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 사실을 우리가 어떻게 증명합니까? 외아드님께서는 외아들로 홀로 남아 계시지 않도록 우리를 위해 죽으셨습니다. 홀로 죽으신 그분은 홀로 계시고 싶지 않으셨습니다. 하느님의 외아드님은 하느님의 많은 자녀들을 만드셨습니다. 그분은 당신 피로써 형제들을 사들이시고, 당신께서 단죄받으심으로 단죄받은 이들을 구하시고, 팔려 가심으로 그들을 속량하시고, 모욕당하심으로 그들에게 영광을 가져다 주셨으며, 죽으심으로 그들을 살려 주셨습니다.


형제들이여, 세상을 두고 기뻐하지 말고 “주님 안에서 기뻐하십시오.” 죄 안에서 기뻐하지 말고 진리 안에서 기뻐하십시오. 허영의 꽃을 두고 기뻐하지 말고 영원의 희망 안에서 기뻐하십시오. 여러분이 어디 있든 얼마나 오래 살든 간에 “주님께서 가까이 계시니 아무 걱정도 하지 마십시오.”

From a sermon by Saint Augustine

Always rejoice in the Lord

The Apostle commands us to rejoice, but in the Lord, not in the world. For, you see, as Scripture says, whoever wishes to be a friend of this world will be counted as God’s enemy. Just as a man cannot serve two masters, so too no-one can rejoice both in the world and in the Lord.

  

Let joy in the Lord win and go on winning, until people take no more joy in the world. Let joy in the Lord always go on growing, and joy in the world always go on shrinking until it is reduced to nothing. I do not mean that we should not rejoice as long as we are in this world, but that even while we do find ourselves in this world, we should already be rejoicing in the Lord.

  

Someone may argue, “I am in the world; so obviously, if I rejoice, I rejoice where I am”. What of it? Because you are in the world, does it mean that you are not in the Lord? Listen to the same Apostle in the Acts of the Apostles, speaking to the Athenians, and saying about God and about the Lord, our Creator, In him we live, and move, and are. Since he is everywhere, there is nowhere that he is not. Is it not precisely this that he is emphasising to encourage us? The Lord is very near; do not be anxious about anything.

  

This is something tremendous, that he ascended above all the heavens but is still very near to those who dwell on earth, wherever they may be. Who can this be that is both far away and close at hand, except the one who became our near neighbour out of mercy?

  

The whole of the human race, you see, is that man who was lying in the road, left there by robbers, half dead, who was ignored by the passing priest and Levite, while the passing Samaritan stopped by him to take care of him and help him; and when the Immortal, the Just, was far away from us mortals and sinners, he came down to us to become – that far distant being – our near neighbour.

  

He has not treated us according to our sins. For we are his children. How do we prove this? The only Son died for us so that he would not remain the only child. He did not want to be alone, who died alone. The only Son of God made many children for God. He bought himself brothers and sisters with his blood; rejected, he accepted us; sold, he bought us back; dishonoured, he honoured us; killed, he brought us life.

  

So then, my brethren, rejoice in the Lord, not in the world; that is, rejoice in faithfulness and not in iniquity; rejoice in the hope of eternity and not the brief flower of vanity. Rejoice thus, and wherever you are here, as long as you are here, the Lord is very near: do not be anxious about anything.

選讀聖奧思定主教講道集

(你們要常在主內喜樂)

保祿宗徒吩咐我們要喜樂,但是要在主內、而不要因世俗而喜樂,一如聖經所說:「誰若願意作這俗世的朋友,就被視為天主的仇敵。」正如一人不能事二主,同樣,人不能同時因世俗而喜樂,又在主內喜樂。


所以,但願在主內的喜樂占優勢,甚至驅除那世俗的喜樂。願在主內的喜樂時時增加,世俗的喜樂常常減少,直到它完全消失為止。我並不是說,我們生活在現世總不該喜樂,而是說,即使我們生活在現世,應該在主內喜樂。


可是有人說:我生活在世上;如果我喜樂,我是在我所處的地方而喜樂。然後呢?你是說:因為你在世上,就不在主內了嗎?請再聽保祿宗徒向雅典人和他在宗徒大事錄中論及我們的主天主、造物主所說的話:「我們是在祂內生活、活動和存在。」天主既然是無所不在的,何處祂不在呢?因此,保祿對這事曾勸我們說:「主臨近了,你們甚麼也不要掛慮。」


這是一大奧秘:祂已升到諸天之上,祂也與那些寄居下土的人很親近。除了那仁慈地接近我們的主之外,誰能同時距離我們很遠又很近呢?


因為那個躺在路上半死半活的人,代表整個人類,他被強盜遺棄,被路過的司祭和肋未棄之不顧,只有一個撒瑪黎雅人走近他,為他療傷並救助他。當那位永生者和聖者離我們有死的人和罪人很遠時,祂雖然距離我們那麼遙遠,就降到我們中間,以便親近我們。


「祂沒有按我們的罪過對待我們」,因為我們是祂的子女。如何證明這事呢? 天主的唯一子為我們的罪死了,免得祂仍然是孤單單的一人;祂一個人死了,不願是孤伶伶的一人。因此天主的唯一子使許多人成為天主的子女。祂用自己的寶血買了許多弟兄,祂曾被人唾棄,却得到了許多弟兄;祂曾被人出賣,却把他們贖回;祂受人侮辱,却使他們備受榮耀;祂曾被人處死,却把生命賜給了他們。


所以,弟兄們,「你們要在主內喜樂」,而不要因世俗而喜樂,就是說:你們要在真理中,而不要在邪惡中喜樂;你們要在永恒的希望中喜樂,不要在脆弱的虛榮中喜樂。所以你們該喜樂:時時處處要喜樂,不論你們身在何方,「主臨近了,你們什麼也不要掛慮。」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