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iday, May 19, 2023

Hebdomada sexta (VI) Paschæ Feria sexta | 부활 제6주간 금요일 | Friday of the Sixth Week of Easter | 復活期第六周星期五

Ex Tractátibus sancti Augustíni epíscopi in Ioánnem

(Tract. 124, 5. 7: CCL 36, 685-687)

Duæ vitæ

Duas vitas sibi divínitus prædicátas et commendátas novit Ecclésia, quarum est una in fide, áltera in spécie; una in témpore peregrinatiónis, áltera in æternitáte mansiónis; una in labóre, áltera in réquie; una in via, áltera in pátria; una in ópere actiónis, áltera in mercéde contemplatiónis.


Ista significáta est per apóstolum Petrum, illa per Ioánnem. Tota hic ágitur ista usque in huius sǽculi finem, et illic ínvenit finem; différtur illa complénda post huius sǽculi finem, sed in futúro sǽculo non habet finem. Ideo dícitur huic: Séquere me; de illo autem: Sic eum volo manére, donec véniam, quid ad te? Tu me séquere.


Tu me séquere per imitatiónem perferéndi temporália mala; ille máneat, donec sempitérna vénio redditúrus bona. Quod apértius ita dici potest: Perfécta me sequátur áctio, informáta meæ passiónis exémplo; inchoáta vero contemplátio máneat, donec vénio, perficiénda, cum vénero.


Séquitur enim Christum, pervéniens usque ad mortem, pia plenitúdo patiéntiæ; manet autem, donec véniat Christus, tunc manifestánda plenitúdo sciéntiæ. Hic quippe tolerántur mala huius mundi in terra moriéntium, ibi videbúntur bona Dómini in terra vivéntium.


Quod enim ait: Volo eum manére, donec véniam, non sic intellegéndum est quasi díxerit, remanére vel permanére; sed, exspectáre; quóniam quod per eum significátur, non útique nunc, sed, cum vénerit Christus, implébitur. Quod autem per hunc significátur, cui dictum est: Tu me séquere, nisi nunc agátur, non perveniétur ad illud quod exspectátur.


Nemo tamen istos insígnes Apóstolos séparet. Et in eo quod significábat Petrus, ambo erant; et in eo quod significábat Ioánnes, ambo futúri erant. Significándo, sequebátur iste, manébat ille; credéndo autem, ambo mala præséntia huius misériæ tolerábant, ambo futúra bona illíus beatitúdinis exspectábant.


Nec ipsi soli, sed univérsa hoc facit sancta Ecclésia, sponsa Christi, ab istis tentatiónibus eruénda, in illa felicitáte servánda. Quas duas vitas Petrus et Ioánnes figuravérunt, sínguli síngulas; verum et in hac temporáliter ambulavérunt ambo per fidem, et illa in ætérnum fruéntur ambo per spéciem.


Omnibus ígitur sanctis ad Christi corpus inseparabíliter pertinéntibus, propter huius vitæ procellosíssimæ gubernáculum, ad ligánda et solvénda peccáta claves regni cælórum primus Apostolórum Petrus accépit; eisdémque ómnibus sanctis, propter vitæ illíus secretíssimæ quietíssimum sinum, super pectus Christi Ioánnes evangelísta discúbuit.


Quóniam nec iste solus, sed univérsa Ecclésia ligat solvítque peccáta; nec ille in princípio Verbum Deum apud Deum, et cétera de Christi divinitáte, et de totíus divinitátis trinitáte atque unitáte sublímia, quæ in illo regno fácie ad fáciem contemplánda, nunc autem, donec véniat Dóminus, in spéculo atque in ænígmate contuénda sunt, quæ prædicándo ructáret, de fonte domínici péctoris solus bibit; sed ipse Dóminus ipsum Evangélium, pro sua cuiúsque capacitáte ómnibus suis bibéndum, toto terrárum orbe diffúdit.

성 아우구스티노 주교의 ‘요한 복음 주해’에서

두 가지 생활 

교회는 계시를 통해서 알려지고 권고된 두 가지 생활을 알고 있습니다. 하나는 신앙을 통한 생활이고, 다른 하나는 하느님을 직접 바라보는 생활입니다. 하나는 현재의 순례 생활이고 다른 하나는 영원한 삶의 생활입니다. 하나는 수고의 생활이고 다른 하나는 휴식의 생활입니다. 하나는 여정에서 이루어지는 생활이고 다른 하나는 본향에서 실현되는 생활입니다. 하나는 행위와 수고의 생활이고 다른 하나는 관조라는 보상을 받는 생활입니다.


사도 베드로는 첫번째 생활을 나타내 주고 사도 요한은 두번째 생활을 나타내 줍니다. 첫번째 생활은 지상에서 진보하여 이 세상 마지막까지 지속되고, 두번째 생활은 세말에 완성되고 후세에는 끝이 없습니다. 그래서 주님은 베드로에게 “나를 따르라.”라고 말씀하시고, 반면 요한에게는 “내가 돌아올 때까지 그가 남아 있기를 내가 바란다고 한들 그것이 너와 무슨 상관이 있느냐? 너는 나를 따르라.” 하고 말씀하십니다.


말하자면 “베드로, 너는 잠시 동안 고통을 당하는 데 있어 나를 본받아 따라야 하고, 요한 너는 내가 영원한 축복을 가지고 올 때까지 남아 있어야 한다.”, 좀더 상세히 말하자면, “완성을 지향하는 활동은 내 수난을 본받아 또 나를 따름으로 되는 것이고, 시작한 관조는 내가 올 때까지 지속되어야 하고 내가 올 때 완성될 것이다.”라는 뜻입니다.


우리는 모든 것을 죽기까지 인내함으로써 그리스도를 따릅니다. 그러나 그분에 대한 완전한 지혜는 그리스도께서 오실 때까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이기에 그때까지 기다려야 합니다. 이 죽음의 땅에서는 세상의 고통을 겪고 저 생명의 땅에서는 주님의 은혜를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내가 돌아올 때까지 그가 남아 있기를 내가 바란다.”라는 말을 “남아 있다” 또는 “살아 있다”라는 뜻으로 이해해서는 안되고 오히려 “기다리다” 또는 “기대하다”라는 뜻으로 알아들어야 합니다. 그리스도께서 요한에게 하신 이 말씀은 지금 성취되지는 않고 다만 그리스도께서 오실 때 성취되겠다는 것을 뜻하고, 베드로에게 하신 “너는 나를 따르라”는 말씀은 기대하는 것이 성취되려면 지금 여기서 그리스도를 따르는 일을 실현해야 한다는 것을 뜻합니다.


그러나 이 위대한 두 사도들을 지나치게 분리시키지 말아야 합니다. 베드로에게 하신 말씀은 두 사도 모두에게서 실현되었고, 요한에게 하신 말씀도 두 사도에게 모두 이루어지게 되었습니다. 그들의 실제 신앙 생활을 보면 두 사람 모두 이 비천한 생활의 고통을 겪었고 또 후세 행복의 은혜를 기대하였습니다.


그런데 이것은 이 두 사도들에게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그리스도의 정배인 거룩한 가톨릭 교회도 그러합니다. 온 교회는 내세의 기쁨을 이루려고 현세 생활의 유혹을 견디어 이겨 나가야 합니다. 베드로와 요한은 각각 이 두 가지 생활을 나타내 주었습니다. 둘 다 신앙 안에 현세 생활을 거쳐 지나갔고 또 둘 다 영원한 행복의 은혜를 누리고 있습니다.


사도들의 으뜸인 베드로는 하늘 나라의 열쇠를 받음으로써 그리스도의 몸에 속하는 모든 사도들의 죄를 묶고 풀 권리를 받아 이 현세의 폭풍우 속에서 그들을 인도해 나갈 책임을 맡았습니다. 요한 복음사가는 그리스도의 품에 머리를 기대어 모든 성도들에게 그 신비스러운 생명의 안식을 보여 주었습니다.


그러나 죄를 묶고 푸는 사람은 베드로만이 아닙니다. 온 성교회입니다. 태초부터 하느님 안에 하느님이시었던 그 말씀과 그리스도의 신성과 삼위 일체에 대한 진리를 알게 된 사람도 요한만이 아닙니다. 이 세상에서 주께서 오실 때까지 거울처럼 희미하게 들여다보고 하느님 나라에서 눈으로 직접 바라볼 그 신비들을 주님 품의 샘에서 마신 사람은 요한만이 아닙니다. 주님 친히 전세계로 복음을 전파하셨고 모든 사람들이 각자의 능력에 따라 그것을 마시도록 하셨습니다.

St Augustine's homilies on St John's gospel

The two lives

There are two ways of life that God has commended to the Church. One is through faith, the other is through vision. One is in pilgrimage through a foreign land, the other is in our eternal home; one in labour, the other in repose; one in a journey to our homeland, the other in that land itself; one in action, the other in the fruits of contemplation.


The first life, the life of action, is personified by the Apostle Peter; the contemplative life, by John. The first life is passed here on earth until the end of time, when it reaches its completion; the second is not fulfilled until the end of the world, but in the world to come it lasts for ever. For this reason Peter is told “Follow me”, but Jesus adds, “If I want John to stay behind till I come, what does it matter to you? You are to follow me”.


You are to follow me by imitating me in the enduring suffering; he is to remain till I come to restore the blessings that last for ever. To put it more clearly: let action, which is complete in itself, follow me and follow the example of my passion; but let contemplation, which has only begun, remain until I come, wait until the moment of its completion.


It is the fullness of patience to follow Christ loyally even to death; the fullness of knowledge lies in wait until Christ comes again, when it will be revealed and made manifest. The ills of this world are endured in the land of the dying; the good gifts of God will be revealed in the land of the living.


We should not understand “I want him to stay behind until I come” as meaning to remain permanently but rather to wait: what is signified by John will not be fulfilled now, but it will be fulfilled, when Christ comes. On the other hand, what is signified by Peter, to whom Jesus says “follow me”, must be realised now or it will never be fulfilled.


But we should not separate these great apostles. They were both part of the present life symbolized by Peter and they were both part of the future life symbolized by John. Considered as symbols, Peter followed Christ and John remained; but in their living faith both endured the evils of the present life and both looked forward to the future blessings of the coming life of joy.


It is not they alone that do this but the whole of the holy Church, the bride of Christ, who needs to be rescued from the trials of the present and to be brought to safety in the joys of the future. Individually, Peter and John represent these two lives, the present and the future; but both journeyed in faith through this temporal life and both will enjoy the second life by vision, eternally.


All the faithful form an integral part of the body of Christ, and therefore, so that they may be steered through the perilous seas of this present life, Peter, first among the Apostles, has received the keys of the kingdom of heaven, to bind and loose from sin. And also for the sake of the faithful, so that they may keep the still and secret heart of his mode of life, John the evangelist rested on Christ’s breast.


It is not Peter alone who binds and looses sins, but the whole Church. It is not John alone who has drunk at the fountain of the Lord’s breast and pours forth what he had drunk in his teaching of the Word being God in the beginning, God with God, of the Trinity and Unity of God — of all those things which we shall see face to face in his kingdom but now, before the Lord comes, we see only in images and reflections — not John alone, for the Lord himself spreads John’s gospel throughout the world, giving everyone to drink as much as he is capable of absorbing.

選讀聖奧思定主教論若望福音

兩種生命


教會認識兩種生命,都是天主啟示並托付給它的。其中之一是信德的生命,另一種是面見天主的生命;一種是在旅世的時期中,另一種是在永遠的住所中;一種是在勞苦中,另一種是在安息中;一種是在旅途中,另一種是在天鄉裡;一種是在活動中,包括勞作,另一種是默觀生活,是勞動的賞報。


宗徒伯多祿象徵前者,若望象徵後者。前者延續到世界末日,到那一日它就達到了目的。後者必須等到世界窮盡之後方能完成。但是在來世這生命却是無盡止的。因此基督對伯多祿說:「跟隨我吧!」但關於若望,祂却說:「如果我願意他留到我來的時候,與你何干?你只管跟隨我。」


你要跟隨我,效法我忍受現世的痛苦;「他要留到我來的時候」,我將帶給他永福。可如此更清楚的說明這一點:如果你效法我苦難的榜樣,你的行為才是完美的;但若望那默觀的生活只是開始,應持續到我來的時候,那時,才能達到圓滿的境界。


忠實地跟隨耶穌,一直到死,這是完全的忍耐;活到基督來的時候,才能有完備的知識。在這死者的地區,人應忍受現世的痛苦,但在生者的領域那裡,將看見主的美善。


主所說的:「我願意他留到我來的時候」,不該想祂是說「存留」或「長存」,而是指他應該期待。因為若望所象徵的生活不是現在,而是到基督要來的時候才完成的。伯多祿所象徵的生活正好相反,基督向他說:「你跟隨我吧!」是指他在現世應該去完成,才能達到所期待的目的地。


可是誰也不要把這兩位顯赫的宗徒分開。二人都度過伯多祿所象徵的生活;二人也將要達到若望所象徵的生活。就象徵而論,前者跟隨基督,後者留在世上。由於信德,二人都忍受了這苦世的痛苦,也都期待著將來天堂的福樂。


不僅他們二人如此,而且整個聖教會──基督的淨配也是如此:它必須從現世的考驗中得到解脫,而後生活在天上永久的幸福中。伯多祿和若望象徵了這兩種生命,每人象徵其中之一。但是事實上,二人都藉信德,暫時地度過了第一種生活;二人也都藉面見天主,永遠地在享受第二種生活。


既然所有聖人都不可或分的屬於基督的身體,為了領導他們渡過今生的驚濤駭浪,宗徒之長伯多祿接受了束縛和開釋罪過的天國之鑰。同樣,為了滿足諸聖的願望,為了使他們認識來世最密切生活的最深處,聖史若望便靠在基督的胸前。


因此,不僅伯多祿一人,而且是整個教會,束縛或寬恕罪過;也不僅若望一人,在泉源中,就是在主的胸中暢飲。他曾以言語昭示我人:聖言在太初就與天主同在,而且就是天主,還有其他有關基督的天主性,和天主三位一體的卓越真理。這些真理,便是他將在天國中面對面所要瞻仰的,而他現在應該在模糊的鏡子中加以窺視。吾主也親自把若望福音廣傳到世界各地,好使所有的信友,都按能力的大小,在福音中暢飲。

No comments:

Post a Comment